반응형

1차 산업혁명은 18세기 증기기관을 통한 기계적 혁명.


2차 산업혁명은 19세기 후반 20세기 초반 전기의 힘을 통한 대량생산의 시작.


3차 산업혁명은 20세기 후반 컴퓨터를 통한 정보혁명.


4차 산업혁명은 사물 인터넷을 통해 생산기기와 생산품 간 소통 체계를 구축.


전체 생산과정의 최적화를 구축하는 산업혁명을 말한다.



요즘 인터넷이나 어디든지 보게되면 들리는 소리가 바로 4차산업혁명이며, 이미 시작되었다.


사물인터넷과 가상현실, 인공지능등과 같은 용어와 함께 우리에게 익숙하게 다가오며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사실, 이전까지의 공장자동화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생산시설이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이제는 생산설비는 제품과 상황에 따라 수동적이 아닌 능동적으로 작업 방식을 결정하게 된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는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클라우스 슈바프 WEF회장이 언급하면서 화제가 되었다.


이변화의 규모와 범위, 복잡성 등은 이전에 인류가 경험했던 것과는 전혀 다를 것입니다."



가끔씩 4차산업혁명과 3차산업혁명의 차이점을 모르는 사람들이 있다. 3차 산업의 경우에는 TV나 음향기기등 아날로그적 기계패러다임으로 제조되었던 기기가 디지털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컴퓨터등 독립적인 정보통신 기기를 활용한 정보 교류가 활성화 되는 수준이였다.


즉, 3차산업은 개별적으로 이용되는 아이템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4차산업은 디지털이 더이상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인간의 일상에 통합되는 존재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4차산업에 대한 기대도는 정말 높을것이다.


자율주행자동차, 가정용 로봇, 인공지능 기반의 이로기기 발달, 공공안전 및 보안 등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며 우리생활에 편리함을 줄것이다.


많은 물건, 적은 인력, 더 손쉽고 빨리 만들 수 있다. 때문에 소비자는 큰 혜택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대다수의 일자리가 사라질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국제노동기구(ILO)는 2016년 7월 수작업을 대신하는 로봇의 확산으로 앞으로 20년간 아시아 근로자 1억 3700만명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선진국도 일자리 안전지대는 아니다. 지난 1월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2020년까지 선진국에서 일자리 710만개가 사라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하지만 속단하기는 이르다. 과거 1, 2, 3차 산업혁명때도 '기계가 일자리를 없앨 것이다'라는 경고는 항상 있었다. 하지만 새로운 일자리가 더 창출되면서 그 논란은 불식되었다. 4차 산업혁명도 그러히자 않을까 한다. 미래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반응형